새로운 지식 보기
Home > 지식/상담>지식/상담 검색 > 새로운 지식
[미분류]정서문제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작성자 : silverjin1001  답변 : 1  조회 : 5198 

답변완료된 질문입니다. (2004-10-04 오후 9:14:41 작성)

레포트를 써야되거든요.
정서문제중에서 정신지체을 제외하고
그 정서문제에 대한 원인과 결과,치료접근,
또 그것과 관련된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는건데 아는 지식이 없어서요.
   자동선택된 답변
자폐성 아동의 정서문제 추천:61  
sblee (2004-10-09 오후 9:14:37 작성)

먼저 질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어려움을 알려드립니다.
정신지체가 갖는 정서 문제를 제외하고 다른 장애 유형을 가진 아동들이 가질 수 있는 정서문제를 묻는 것으로 이해하고 답해드리겠습니다.
어떤 장애 유형이든 정서 문제를 가질 수 있습니다.  
그 중 자폐성 장애의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고 나머지 장애 유형을 가진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문제에 대해서는 각 장애유형에 관련된 책을 찾아보시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폐성 장애는 주된 문제 중 하나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결함입니다. DSM-IV에 나오는 장애 진단 기준을 보시면
(1)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질적인 손상이 다음 항목들 중 적어도 2개의 항목으로 표현된다고 나와 있습니다.
(a)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맞주치기, 얼굴표정, 몸자세,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언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애
(b)발달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c)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가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지 못한다
(d)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 받는 상호적 교류의 결여,
즉, 다른 사람의 얼굴표정이나 몸짓, 목소리 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인식하지 못하며 스스로의 감정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인식하고 표현하는데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물론 상호적인 관계 속에서 감정이나 정서를 공유하거나 주고 받는데도 결함을 갖고 있습니다.
그 원인으로는 먼저 일반인들의 경우 만 4세 정도가 되면 발달되기 시작하는 '마음이론'이 자폐아동의 경우 발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음이론이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능력으로 4세 경이 되면 자신의 생각이나 의도, 행동이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게 됩니다. 마음이론이 발달해 가면서 거짓말, 농담, 가상, 비유, 속임수, 상반된 감정, 유머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해할 수 있게도 됩니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의 표정이나 몸짓, 목소리 등을 듣고 다른 사람의 정서 상태를 파악할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또래가 하는 유머를 듣고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함께 웃을 수 없습니다. 누군가 빈정되는 뜻으로 "너 참 착하구나!"라고 말 했을 때, 그 말이 칭찬이 아니라 빈정대는 것임을 모르며, 그 말 그대로 이해하기 때문에 부끄러움을 느끼거나 반성을 할 수 없으며 따라서 적절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자폐성 아동의 정서적 결함은 마음이론을 습득시키기 위한 중재를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먼저, 상황적 접근을 통해 자신 및 다른 사람들이 느끼는 정서에 대한 명칭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동이 화가 나서 물건을 던지거나 신경질 부리는 행동을 할 때, 교사는 "화가 났구나"라고 아동 대신 표현해줌으로써 아동은 자신이 느끼는 정서에 대해 이해하고 정의할 수 있게 됩니다. 교사나 기쁜 몸동작과 함께 환하게 웃으면서 "너가 밥을 다 먹어서 선생님은 기뻐요"라고 표현해줌으로써 표정, 몸짓, 목소리 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인식하고 그 정서가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사진이나 비디오 자료들을 통해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정서 표현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속마음과 다른 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른 사람의 정서 읽기는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y)나 삽화를 통한 대화(comic strip conversation) 등을 활용해 가르칠 수 있습니다.
자페성 아동의 정서 문제에 관한 자료는 정서학습장애 연구(Journal of Emitional Distrurbances & Learning Disabilities, 2002, Vol. 18, No.3, pp.37~64) 학술지에 실린 서경희 교수의 "고기능 자폐아와 아스퍼거 장애아의 마음 이론 결손과 중재" 논문을 참고 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성 장애와 ADHD에 대한 이해는 본 사이트 HOMI 서당(오른쪽 정보이용 메뉴에서)->장애이해에서 동영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하시면, [답변하기, 추천, 의견쓰기] 가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기] [목록]